728x90

일단 해보는 코딩 125

[Java] 객체지향언어 (클래스에 대하여)

객체지향 언어의 정의 현실에 존재하는 사물과 개념들을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하고, 그 구현된 객체들이 상호작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식 객체지향 언어의 목적? " 코드의 재 사용 ! " , " 코드의 관리가 용이 ! " , " 신뢰성 ! " 알아두기 더보기 객체 ?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는 것(고양이, 강아지, 등) 객체향언어? 코드를 객체화하여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도록 한다 절차지향 언어? 명령을 순서대로 처리하는 방식 객체지향 언어의 특징? 1. 추상화 : 공통적인 특징을 모아 놓은 것 ex) 택시, 버스, BMW 들의 공통적인 특징을 "자동차"라는 걸로 정의하는 느낌.. 2. 상속 : 부모의 것을 자식이 받아오는 것 3. 캡슐화 : 사용하는 사람은 기능만 알면된다! ex) 약국에 가서 감기약 ..

[Java] Method(메서드) 정리

메서드란 ? " 여러 명령들을 하나의 이름을 호출 (사용)함으로써, 한 번에 명령을 내리고자 사용하는 것이다. " 구조 : 메서드가 어떤 명령들로 구성이 되어있는지 구현하는 부분 매개변수(타입변수명) => 함수의 호출부에서 구현부로 전달하고 싶은 값이 있을 때 전달할 값을 저장할 공간 return 값 => 함수에 구현된 모든 명령 실행 후, 함수가 갖게 될 결과 값 ※ 리턴타입 : void => 리턴값이 존재하지 않는다. Return type(반환 타입)? => 반환하는 값의 자료형 구조 : 메서드에 구현된 명령들이 실행될 수 있도록 호출하는 부분 예제 1) 함수 호출 시 100을 전달받아서, 전달받는 100을 출력하자! package Home17; public class Method1 { public ..

[Java] IO(Input/Output) - 입출력

IO(Input/Output) 간단히 말해서 입출력 이라고 한다. 입출력은 컴퓨터 내부 또는 외부의 장치와 프로그램간의 데이터를 주고받는 것을 말한다. ex) 예를 들면 키보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는다든가 System,out.println()을 이요해서 화면에 출력 Stream (스트림) 자바에서 입출력을 수행하려면, 즉 어느 한쪽에서 다른 쪽으로 데이터를 전달하려면, 두 대상을 연결하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무언가가 칠요한데 이것을 스트림이라고 정의한다. 즉, 스트림이란 데이터를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연결통로 이다.

[Java] 다형성(polymorphism)

다형성(polymorphism) 이란? 한 가지의 타입이 여러 가지 형태의 인스턴스를 가질 수 있는 것 부모-자식 상속 관계에 있는 클래스에서 상위 클래스가 동일한 메시지로 하위 클래스들을 서로 다르게 동작시키는 객체 지향 원리이다. 다형성을 활용하면 부모 클래스가 자식 클래스의 동작 방식을 알수 없어도 오버라이딩을 통해 자식 클래스를 접근가능하다. 다형성의 여러 방법 : 부모 자식간의 casting(형 변환) 1. 업 캐스팅(upcasting) : 자식 클래스의 객체가 부모클래스의 참조 변수로 형 변환 되는 것 구조 : 부모클래스 변수 = 자식 객체값; 더보기 package Home25; public class Upcasting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Java] Ramda 식

Ramda 란?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 익명 함수(Anonymous functions)를 지칭하는 용어이며, 현재 사용되고 있는 람다의 근간은 수학과 기초 컴퓨터과학 분야에서의 람다 대수이다. 람다 대수는 간단히 말하자면 수학에서 사용하는 함수를 보다 단순하게 표현하는 방법 Ramda 표현식 람다는 매개변수 화살표(->) 함수몸체로 이용하여 사용 할 수 있습니다. 함수몸체가 단일 실행문이면 괄호{}를 생략 할 수 있습니다. 함수몸체가 return문으로만 구성되어 있는 경우 괄호{}를 생략 할 수 없습니다. package Java13; @FunctionalInterface /* Functional Interface는 일반적으로 '구현해야 할 추상 메소드가 하나만 정의된 인터페이스'를 가리킵니..

[Java] 컬렉션 프레임윅(Collections Framework) - ArrayList

ArrayList 의 특징 ArrayLists는 Collection 프레임워크의 일부로써 표준 배열보다는 느리지만 배열을 여러번 수행할 때 편리하다. List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기 때문에 데이터의 저장순서가 유지되고 중복을 허용한다. ArrayLists는 Object배열을 이용해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저장한다. ArrayLists는 배열의 용량을 초과하면 자동으로 부족한 크기만큼 용량을 늘려준다. 주로 를 많이 사용하고 String, Character 타입으로도 선언 할 수 있다. 예제 1) ackage Java13;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Iterator; public class Test07 { public static void main(Stri..

[Java] 컬렉션 프레임윅(Collections Framework) - Set

Set Set은 java.util 패키지에 존재하는 인터페이스로써 특정 코드에서 중복된 값의 허용이 있어서는 안 될 때 사용한다. 즉, Set을 사용하면 복잡한 코드구성 없이 중복된 요소들을 쉽게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HashSet(정렬이 안 되고)과 TreeSet(오름차순 정렬 됨)을 알아본다. package Java13; import java.util.HashSet; import java.util.TreeSet; public class Test03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HashSet hs = new HashSet(); // Wrapper 구문 while (true) { int v = (int) (Math.r..

[Java] 컬렉션 프레임윅(Collections Framework) - Map

Map Map은 키(key)와 값(value)을 묶어서 하나의 데이터로 저장한다는 특징을 갖는다. 키를 통해 값을 검색하므로, 많은 양의 데이터를 검색하는데 있어서 뛰어난 성능을 발휘한다.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이 HashMap이다. 키는 불변이고 값은 중복될 수 있다. JSON format, Hadoop, BigData, .... Map은 길이를 ~.length를 사용하지 않고 ~.size를 사용한다. package Java13; import java.util.HashMap;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Test05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TODO Auto-generated method stub HashM..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