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일단 해보는 법학공부/재무행정론 2

점증주의 예산과 예비타당성 조사

1. 국가재정운용의 목적(국가재정법 1조)​국가재정법 제1조(목적) 이 법은 국가의 예산, 기금, 결산, 성과관리 및 국가채무 등 재정에 관한 사항을 정함으로써 효율적이고 성과 지향적이며 투명한 재정운용과 건전재정의 기틀을 확립하고 재정운용의 공공성을 증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요약 -> 효율성, 성과 지향성, 투명성, 건정성, 공공성 추구 ​- 예산의 효율성은 더 적은 노력으로 목표한 바를 달성했는가? 가성비라고 생각하면 된다. 즉, 최소한의 비용으로 재정운영의 효과를 극대화하려는 재정목표를 의미한다. 좁은 개념으로는 투입과 산출의 비율, 넓은 의미로는 효율성과 고객만족 증진이다. 정부는 효율성만 따질것이 아니라 효과성도 잘 따져줘야 한다. ​​- 예산의 (효과성)성과지향성이라는 것을 명시하고있는데..

재정건전성, 지방자치와 예산제도

재무행정론 기말고사 정리 용어정의재정건전성국가채무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며 채무상환능력이 있는 지속 가능한 재정상태 (재정의 지속가능성)재정준칙재정건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법적·제도적으로 설정된 채무·수입·지출·수지에 대한 규범단순성재정준칙이 일반 국민과 정치인에게 이해하기 쉽게 설계되어야 함유연성위기 상황(재난, 전쟁 등)에 따라 일시적 예외 적용이 가능한 구조집행성준칙이 법제화되어 실제 정책에 반영되고 이행될 수 있는 실행력세대 간 정의현재 세대가 미래 세대의 재정 부담을 고려하며 의사결정을 해야 한다는 가치자치재정권지방정부가 자치사무 수행에 필요한 경비를 자체 조달하고 지출할 권한사무귀속-비용부담 원칙책임 있는 사무의 비용은 그 사무를 맡은 주체가 전액 부담해야 한다는 원칙지방교부세일반재원 성격. 중..

728x90